과학수사

中 피싱조직 세탁 자금 전자지갑으로 건네 준 제주 20대 11명 검거

과학수사저널 2025. 10. 1. 17:01

 

사건 개요

  • 수사기관: 서귀포경찰서
  • 검거 인원: 국내 총책 A씨 포함 11명
    • 구속: 6명
    • 타사건 구속 상태: 2명
    • 불구속: 3명
  • 피의자 연령대: 대부분 20대
  • 범죄 기간: 2025년 3월 ~ 4월
  • 세탁 자금 규모: 약 100억 원
  • 전체 피해 규모(중국 조직 포함): 약 334억 원 / 피해자 288명

범행 구조 및 자금세탁 방식

1. 피싱 조직의 범죄 수익 유입

  • 중국 피싱 조직이 로맨스 스캠, 투자 리딩방, 노쇼 사기 등 다양한 온라인 수법으로 334억 원 편취.
  • 이 돈 중 일부가 피의자 명의 계좌로 유입.

2. 🪙 가상화폐를 통한 자금세탁

  • 피의자들은 본인 명의의 가상화폐 거래소 계정을 개설.
  • 유입된 자금을 통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구매.
  • 구매된 가상화폐는 전자지갑(Wallet) 형태로 중국 조직에 전달.

디지털 포렌식 포인트:

  • 가상화폐 거래소 로그인 기록, 입출금 로그, 블록체인 전송 기록 추적 가능.
  • 특히, 암호화폐 전송 주소 간의 흐름을 추적하면 자금의 흐름 파악 가능.

3. 직접 중국에 건너가 계정·지갑 전달

  • 피의자 2~3명씩 나눠 직접 중국으로 이동.
  • 현지에서 계정, 전자지갑 등 디지털 자산을 조직에 인계.

포렌식 관점 포인트:

출입국 기록, 휴대폰·노트북 포렌식으로 중국 조직과의 연락, 지갑 백업 파일, OTP 인증 기록 등을 확인 가능.

 

디지털 포렌식 수사의 핵심

1. 가상화폐 거래소 데이터 확보

  • 피의자들의 거래소 계좌 정보, 로그인 IP, 기기 ID
  • 실명 인증 및 계좌 연결 내역 추적

2. 블록체인 트랜잭션 분석

  • 특정 전자지갑 주소를 중심으로 입출금 기록 분석
  • 거래 시점, 거래 상대방 지갑의 연관성 파악

3. 휴대폰 및 노트북 디지털 증거 확보

  • 텔레그램, 위챗 등 메신저 앱을 통한 지시/연락 내역
  • 전자지갑 백업파일, 시드 키(seed phrase)
  • OTP 인증 앱 로그

범죄 수익과 보상 구조

  • 피의자들은 자금세탁 성공 시 **범죄 수익의 약 1%**를 수수료 형태로 받음.
  • 단순한 ‘심부름’이 아닌 명백한 공범 구조.
  • 일부 피의자는 고액 수익을 미끼로 취업 사기에 가까운 방식으로 리크루팅된 것으로 보임.

시사점 및 예방 방안

  1. 가상화폐 기반 자금세탁은 이제 조직적인 국제 범죄로 확산 중
  2. 젊은 층 대상 리쿠르팅 주의 필요 – "해외 거래 대행", "고수익 알바" 등
  3. 거래소, 금융기관, 수사기관 간 정보 공유 강화 절실
  4. 디지털 포렌식 기술 역량 강화가 수사 성패 좌우

마무리하며

이번 사건은 단순한 피싱을 넘어, 가상화폐와 국제적 협업이 결합된 디지털 자금세탁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포렌식 수사는 거래소 데이터, 지갑 주소, 전자기기 포렌식 등을 통해 실체를 파헤쳤고, 결과적으로 국내 조직 11명을 검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과학수사저널 기사보기

https://www.kfj.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4

 

中 피싱조직 세탁 자금 전자지갑으로 건네 준 제주 20대 11명 검거 - 과학수사저널

제주에서 중국 피싱 조직과 자금세탁을 벌인 이들이 경찰에 붙잡혔다.서귀포경찰서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및

www.kfj.co.kr